하루살이 개발일지

[Algorithm] 실패율 - 프로그래머스 본문

알고리즘

[Algorithm] 실패율 - 프로그래머스

harusari 2023. 6. 20. 17:58

문제 설명

실패율

슈퍼 게임 개발자 오렐리는 큰 고민에 빠졌다. 그녀가 만든 프랜즈 오천성이 대성공을 거뒀지만, 요즘 신규 사용자의 수가 급감한 것이다. 원인은 신규 사용자와 기존 사용자 사이에 스테이지 차이가 너무 큰 것이 문제였다.

이 문제를 어떻게 할까 고민 한 그녀는 동적으로 게임 시간을 늘려서 난이도를 조절하기로 했다. 역시 슈퍼 개발자라 대부분의 로직은 쉽게 구현했지만, 실패율을 구하는 부분에서 위기에 빠지고 말았다. 오렐리를 위해 실패율을 구하는 코드를 완성하라.

  • 실패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.
    • 스테이지에 도달했으나 아직 클리어하지 못한 플레이어의 수 / 스테이지에 도달한 플레이어 수

전체 스테이지의 개수 N,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현재 멈춰있는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긴 배열 stag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실패율이 높은 스테이지부터 내림차순으로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겨있는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.

제한사항

  • 스테이지의 개수 N은 1 이상 500 이하의 자연수이다.
  • stages의 길이는 1 이상 200,000 이하이다.
  • stages에는 1 이상 N + 1 이하의 자연수가 담겨있다.
    • 각 자연수는 사용자가 현재 도전 중인 스테이지의 번호를 나타낸다.
    • 단, N + 1 은 마지막 스테이지(N 번째 스테이지) 까지 클리어 한 사용자를 나타낸다.
  • 만약 실패율이 같은 스테이지가 있다면 작은 번호의 스테이지가 먼저 오도록 하면 된다.
  • 스테이지에 도달한 유저가 없는 경우 해당 스테이지의 실패율은 0 으로 정의한다.

입출력 예

N stages result

5 [2, 1, 2, 6, 2, 4, 3, 3] [3,4,2,1,5]
4 [4,4,4,4,4] [4,1,2,3]

입출력 예 설명

입출력 예 #1

1번 스테이지에는 총 8명의 사용자가 도전했으며, 이 중 1명의 사용자가 아직 클리어하지 못했다. 따라서 1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.

  • 1 번 스테이지 실패율 : 1/8

2번 스테이지에는 총 7명의 사용자가 도전했으며, 이 중 3명의 사용자가 아직 클리어하지 못했다. 따라서 2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.

  • 2 번 스테이지 실패율 : 3/7

마찬가지로 나머지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.

  • 3 번 스테이지 실패율 : 2/4
  • 4번 스테이지 실패율 : 1/2
  • 5번 스테이지 실패율 : 0/1

각 스테이지의 번호를 실패율의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면 다음과 같다.

  • [3,4,2,1,5]

입출력 예 #2

모든 사용자가 마지막 스테이지에 있으므로 4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1이며 나머지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0이다.

  • [4,1,2,3]

처음 내 풀이 및 코드리뷰 (정답이나 아쉬운 부분이 많음)

const solution = (N, stages) => {
  let arr = [...Array(N)];

  for (let i = 1; i <= N; i++) {
    // 굳이 배열로 저장 안 해도 될듯 ㅠㅠ
    let failedRatio = [0, 0];
    failedRatio[1] = stages.length;
    // 밑에 두 줄을 e와 i가 일치하는 filter로 한 줄로 줄여도 좋았겠다 ㅜㅜ
    stages = stages.filter((e) => e !== i);
    failedRatio[0] = failedRatio[1] - stages.length;
    // 애초에 여기에서 넣어줄 때 배열로 넣어줘도 좋겠다,,
    arr[i - 1] = failedRatio[0] / failedRatio[1];
  }

  arr = arr
    // 만약에 위에서 애초에 배열로 넣어줬으면 이 과정에서 map돌릴 필요가 없어짐
    .map((v, i) => [v, i + 1])
    // sort쓸 때 굳이 이렇게 형태를 다 쓰지 않고 일단 여기 a,b 한다음에
    .sort(([vA, iA], [vB, iB]) => {
      // 이 과정이 필요가 없나보다,, [4,4,4,4] 라면 [0,0,0,1]이 돼서 어차피 걸러짐
      if (vA === vB) return iA - iB;
      // 여기에서 b[1] - a[1] 해도 됨, 당연히. 배열이니까. 하드코딩 ㄴㄴ
      return vB - vA;
    })
    // 이 부분도 동일. 그냥 x => x[0] 하면 됐었다.
    .map(([v, i]) => i);

  return arr;
};
  • 풀긴 했는데 개선할 점이 많아보이는 코드이다
  • 푸는 로직은 눈치를 까서 꾸역꾸역 코드를 짜보았지만, 불필요한 부분이 너무 많다.

 

개선한 코드 (정답)

  • 위의 코드에서 부족한 부분을 개선시켜 재탄생한 나의 코드이다
const solution = (N, stages) => {
  let answer = [];

  for (let i = 1; i <= N; i++) {
    let tried = stages.length;
    let successed = stages.filter((v) => v === i).length;
    stages = stages.filter((v) => v > i);
    answer.push([i, successed / tried]);
  }

  return answer.sort((a, b) => b[1] - a[1]).map((e) => e[0]);
};
  • 너무 너무 뿌듯하다 ^^V