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Algorithm] 달리기 경주 - javascript
문제 바로가기
문제
얀에서는 매년 달리기 경주가 열립니다. 해설진들은 선수들이 자기 바로 앞의 선수를 추월할 때 추월한 선수의 이름을 부릅니다. 예를 들어 1등부터 3등까지 "mumu", "soe", "poe" 선수들이 순서대로 달리고 있을 때, 해설진이 "soe"선수를 불렀다면 2등인 "soe" 선수가 1등인 "mumu" 선수를 추월했다는 것입니다. 즉 "soe" 선수가 1등, "mumu" 선수가 2등으로 바뀝니다.
선수들의 이름이 1등부터 현재 등수 순서대로 담긴 문자열 배열 players와 해설진이 부른 이름을 담은 문자열 배열 calling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경주가 끝났을 때 선수들의 이름을 1등부터 등수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5 ≤ players의 길이 ≤ 50,000
players[i]는 i번째 선수의 이름을 의미합니다.
players의 원소들은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players에는 중복된 값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.
3 ≤ players[i]의 길이 ≤ 10
2 ≤ callings의 길이 ≤ 1,000,000
callings는 players의 원소들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경주 진행중 1등인 선수의 이름은 불리지 않습니다.
첫 번째 시도 (실패)
function solution(players, callings) {
let currentPlayers = players;
callings.map((player) => {
const index = currentPlayers.indexOf(player);
const overtakenPlayer = currentPlayers[index-1]
currentPlayers = [...currentPlayers.slice(0,index-1), player, overtakenPlayer, ...currentPlayers.slice(index+1)]
})
return currentPlayers
}
단순하게 문제 그대로 slice를 이용해 추월당한 선수의 이전 index까지 자르고, 추월한 선수와 추월당한 선수의 자리를 바꾸고, 그 뒤의 선수들을 스프레드 연산자 형태로 풀어주는 방식의 코딩이었음.
결과는 시간초과 엔딩;
문제점은 다음과 같았다.
1. indexOf의 사용
indexOf를 사용하면 배열의 각 요소를 순차적으로 검색해야 하므로 시간 복잡도가 O(n*m)이 된다. (n은 players 배열의 길이, m은 callings 배열의 길이)
2. 배열 슬라이스와 스프레드 연산자 병합
배열 슬라이싱은 O(K) 시간이 걸리는데, 여기서 K는 슬라이스된 배열의 길이다. 이 작업 역시 callings 배열을 순회하면서 매번 수행되므로 시간 복잡도에 크게 기여한다.
그리고 무엇보다 너무 하드코딩이다.
두 번째 시도 (정답)
function solution(players, callings) {
let obj = {}
players.forEach((player, index) => obj[player] = index)
callings.forEach(call => {
const calledIndex = obj[call]
const prevPlayer = players[calledIndex - 1];
players[calledIndex -1] = call
players[calledIndex] = prevPlayer
obj[call] -= 1;
obj[prevPlayer] += 1;
})
return players
}
- 시간복잡도
객체(또는 해시 테이블)를 사용하면, 각 플레이어의 인덱스를 O(1) 시간에 접근할 수 있다.
각 플레이어의 이름을 키(key)로 사용하고, 해당 플레이어의 players 배열 내 인덱스를 값(value)으로 저장하였다.
- 처리 로직
callings 배열을 순회하면서, 객체를 사용해 호출된 플레이어의 현재 인덱스를 빠르게 찾는다.
players 배열에서 해당 플레이어와 바로 앞의 플레이어의 위치를 교환한다.
위치 교환이 발생한 후에는 객체의 값을 업데이트하여 각 플레이어의 새로운 인덱스를 반영한다.
이러한 접근 방식은 많은 수의 추월 이벤트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한다.
특히, callings 배열이 매우 긴 경우에도, 각 추월 이벤트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 전체적인 시간 복잡도를 크게 개선한다.